는 b1, b2 vector의 내적을 의미한다. c_i 는 x가 b_i를 얼마나 가지고있는가 를 의미한다. c_i를 나태내는 분모의 값 (b_i, b_i) 는 normalization factor라고 생각하면 된다. H(jw) 는 fourier series에서 각 harmonic component의 계수를 의미했었다. 현재 x에 e^jwt 가 얼마만큼 분포 해 있는 지 구하기 위해서 내적을 한 결과가 결국 x를 fourier transform 한 결과라는 것을 의미한다. Fourier transform 은 laplace transform의 special case이다. imagnary 영역 (compelx) 만 고려할 때 사용되는 개념이다. 즉 s = jw (complex) 일 때 적용된다. lapl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