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생명 주기 콜백 시작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풀이나 , 네트워크 소켓처럼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점에 필요한 연결을 미리 해두고, 애플리케이션 종료 시점에 연결을 모두 종료하는 작업을 진행하려면 객체의 초기화와 종료 작업이 필요하다.
package hello.core;
public class NetworkClient
{
private String url;
public NetworkClient()
{
System.out.println("생성자 호출, url = " + url);
connect();
call("초기화 연결 메세지");
}
public void setUrl(String url)
{
this.url = url;
}
//서비스를 시작시 호출
public void connect()
{
System.out.println("conncet" + url);
}
public void call(String message)
{
System.out.println("call " + url + " message = " + message);
}
//서비스 종료시 호출
public void disconnect()
{
System.out.println("close: "+ url);
}
}
package hello.core.lifecycle;
import hello.core.NetworkClient;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Configurable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
public class BeanLifeCycleTest
{
@Test
public void lifeCycletest()
{
Configurable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LifeCycleConfig.class);
NetworkClient client = ac.getBean(NetworkClient.class);
ac.close();
}
@Configuration
static class LifeCycleConfig
{
@Bean
public NetworkClient networkClient()
{
NetworkClient networkClient = new NetworkClient();
networkClient.setUrl("http://hello-spring.dev");
return networkClient;
}
}
}
NetworkClient 생성자 부분을 보면 url 정보없이 conncet가 호출되는것을 볼 수 있다. 객체를 생성한 다음에 외부에서 수정자 주입을 통해서 setUrl 이 호출되어야 url이 존재하게 된다.
스프링 빈은 간단하게 객체생성 -> 의존관계 주입 라이프 사이클을 가진다.
객채생성후 의존관계 주입이 완료되고 난 다음에 호출해야 한다. 그럼 개발자가 끝났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스프링은 의존관계 주입이 완료되면 스프링 빈에게 콜백 메서드를 통해서 초기화 시점을 알려주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또 한 스프링은 스프링 컨테이너 종료되기 직전에 콜백을 준다. 따라서 안전하게 종료작업을 진행 시킬 수 있다.
스프링 빈의 이벤트 라이프 사이클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 스프링 빈 생성 -> 의존관계 주입 -> 초기화 콜백 -> 사용 -> 소멸전 콜백 -> 스프링 종료
객체의 생성과 초기화를 분리하자
생성자 안에서 무거운 초기화 작업을 함께 하는 것보다는 객체를 생성하는 부분과 초기화 하는 부분을 명확하게 나누는 것이 유지보수 관점에서 좋다.
3가지 방법으로 빈 생명주기 콜백을 지원한다
인터페이스(InitializingBean, DisposableBean)
설정 정보에 초기화 메서드, 종료 메서드 지정
@PostConstruct , @PreDestory 애노태이션 지원
인터페이스(InitializingBean, DisposableBean)
package hello.core;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Disposable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InitializingBean;
public class NetworkClient implements InitializingBean , DisposableBean
{
private String url;
public NetworkClient()
{
System.out.println("생성자 호출, url = " + url);
connect();
call("초기화 연결 메세지");
}
public void setUrl(String url)
{
this.url = url;
}
//서비스를 시작시 호출
public void connect()
{
System.out.println("conncet" + url);
}
public void call(String message)
{
System.out.println("call " + url + " message = " + message);
}
//서비스 종료시 호출
public void disconnect()
{
System.out.println("close: "+ url);
}
@Override
public void afterPropertiesSet() throws Exception
{
System.out.println("NetworkClient.afterPropertiesSet");
connect();
call("초기화 연결 메세지");
}
@Override
public void destroy() throws Exception
{
System.out.println("NetworkClient.destroy");
disconnect();
}
}
생성자 호출, url = null
conncetnull
call null message = 초기화 연결 메세지
NetworkClient.afterPropertiesSet
conncethttp://hello-spring.dev
call http://hello-spring.dev message = 초기화 연결 메세지
15:24:26.210 [main] DEBUG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 Closing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212b5695, started on Sun Feb 14 15:24:25 KST 2021
NetworkClient.destroy
close: http://hello-spring.dev
생성자가 호출되고 스프링 빈 등록 하고 의존관계주입이 다 끝나고나면 afterPropertiesSet을 호출하면서 초기화를 해준다. 그다음 debug 로그를 보면 closing이 호출이 된다. 싱글톤 빈들이 하나씩 죽으면서 destory가 호출이 된다.
초기화, 소멸 인터페이스의 단점
이 인터페이스느 스프링 전용 인터페이스이다. 전용 인터페이스에 의존적이게 된다.
메소도의 이름을 변경할 수 없다. 또한 내가 코드를 고칠 수 없는 외부 라이브러리에 적용할 수 없다.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빈 등록 초기화 , 소멸 메서드
@Bean(initMethod = "init", destroyMethod = "close")
public NetworkClient networkClient()
{
NetworkClient networkClient = new NetworkClient();
networkClient.setUrl("http://hello-spring.dev");
return networkClient;
}
빈 옆에 초기화 메서드의 이름을 종료시 호출되는 메서드의 이름을 적어주면 위와 같이 잘동작한다.
스프링 빈에 의존하지 않아서 이름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설정 정보를 사용하게에 코드를 고칠 수 없는 외부 라이브러리에도 초기화 , 종료 메서드를 적용 할 수 있다.
@Bean의 destroyMethod 는 (inferred) 으로 등록이 되어있다. close ,shoutdown 같은 메서드의 이름을 찾아서 종료시점에 알아서 호출 해준다. 이게 싫으면 "" 빈 공백을 지정하면 된다.
애노태이션 @PostConstruct @PreDestory
제일 야물딱지다고 할 수 있다. 이걸 사용한다.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
System.out.println("NetworkClient.init");
connect();
call("초기화 연결 메세지");
}
@PreDestroy
public void close()
{
System.out.println("NetworkClient.close");
disconnect();
}
해당 메소드에 각각 annotation을 달아 주면 된다. 하지만 외부 라이브러리에 사용하지 못한다.
스프링 컨테이너와 빈은 모두 객체임으로 JVM의 heap 영역에 생성이되고 GC의 대상이 되지만 애플리케이션이 끝나기 적전까지 싱글턴 빈은 스프링 컨테이너가 참조하고 있고 스프링 컨테이너도 나의 앱이 참조하고 있기에 종료 직전까지 사라지지 않는다.
'WEB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캠프 2017 Async & Spring (0) | 2021.09.10 |
---|---|
김영한 (스프링 핵심원리 9) 프로토타입 스코프 - 싱글톤 빈과 함께 사용시 문제점 (0) | 2021.02.15 |
김영한 (스프링 핵심 원리 7) 의존관계 자동 주입 (0) | 2021.02.14 |
김영한 (스프링 핵심원리 6) 컴포넌트 스캔 (0) | 2021.02.13 |
김영한 (스프링 핵심원리 5) 싱글톤 컨테이너 (0) | 2021.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