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번에 끝내는 DNS
도메인 이름으로 검색해서 ipv4주소를 돌려줌
분산 구조형 데이터 베이스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DNS 네임 서버) 의 분산 구성
- 데이터의 영역별 구분(Domain Zone) 및 분산관리
- 도메인의 네임서버 및 도메인 데이터는 해당 관리주체에 의해 독립적으로 관리됨
트리 구조의 도메인 네임(Domain Name) 체계
- Domain = 영역 , 영토를 의미
- 도메인 네임의 자율적 생성
- 생성된 도메인 네임은 언제나 유일하도록 네임체계를 구성
한번 조회된 DNS는 DNS Cache에 local 에 저장이 된다.
ip 주소는 항상 유효기간과 함께 오게 된다. 보통 2시간 이런식으로 굉장히 짧다
hosts , DNS Cache 가 local 에 존재하면 DNS에 따로 물어보지 않는다. 그래서 안랩 tx에서 hosts 같은거 변경되면 다시 되돌릴레? 하고 맨날 물어보는것이다.
RootDNS 가 13대가 존재하고 com , org 등등 각각 도메인을 담당하고 있는 DNS 가 따로 또 존재한다. 계속 타고 들어가서 결국 naver 도메인(원하는) 을 찾아내고 ip주소를 얻어오면 DNS Cache에 저장이 된다.
굵고 짧게 살펴보는 HTTP
16bit로 되어 있지 않고 header, payload 부분이 문자열로 구성이 되어있다.
wireshark로 본 Request (빨강), Response (파랑).
Cookie 는 client 가 server의 상호작용을 하기위해 특정 "상태"를 기억하기 위해 존재한다.
Server는 DB를 둬서 여기에다가 client 와의 상호작용의 "상태"들을 저장하게 된다.
'Network >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 공유기 작동원리 (0) | 2023.06.21 |
---|---|
네트워크 장치의 구조 (0) | 2023.06.15 |
L4 수준 대표주자 TCP와 UDP (0) | 2023.06.09 |
L3 수준에서 외울 것들 (0) | 2023.06.02 |
Internet 기반 네트워크 입문 , L2 (0) | 2023.06.01 |